프로토콜 계층화
장점 : 모듈화는 시스템 구성요소의 갱신을 더 쉽게 한다.
단점 : 한 계층의 기능이 하위 계층과 기능적으로 중복된다. [ ex ) 오류복구 기능 ]
다른 계층에만 존재하는 정보를 필요로 할 수 있다.
OSI ( Open System Interconnection ) [ Top-Down Approch ]
[ L7 ] 응용 계층 ( Application Layer )
* HTTP ( 웹 문서 요청과 전송 ), FTP ( 파일 전송 ), SMTP ( 전자 메일 전송 ), DNS ( 도메인 네임 서버 ) ...
*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다른 종단 시스템에 있는 프로세스 간의 정보 패킷을 교환하는 데 사용.
* 메세지 ( message )
[ L6 ] 표현 계층 ( Presentation Layer )
*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.
* 응용 계층으로부터 부담을 덜어 준다.
[ L5 ] 세션 계층 ( Session Layer )
* 송수신 방식, 반이중 방식, 전이중 방식
* 양 끝단의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.
[ L4 ] 전송 계층 ( Transport Layer )
* L4 스위치 [ port ]
* port
* TCP ( 연결지향형 서비스 ), UDP ( 비연결형 서비스 ), RTP, SCTP
*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세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.
* 세그먼트 ( segment )
[ L3 ] 네트워크 계층 ( Network Layer )
* L3 스위치 [ IP ] : 라우터
* IP
*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데이터그램을 라우팅.
* IP 데이터그램의 필드를 정의하며, 종단 시스템과 라우터가 이 필드에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정의.
* 출발지와 목적지 간 일련의 라우터 ( 패킷 스위치 )를 통해 데이터 그램을 라우트.
[ L2 ] 데이터 링크 계층 ( Data Link Layer )
* L2 스위치 [ mac ]
* DOCSIS ( 이더넷, 와이파이, 케이블 접속 네트워크 프로토콜 )
* 각 노드에서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그램을 아래 링크 계층으로 보내고,
그 데이터그램을 경로상의 다음 노드에 전달
* 한 네트워크 요소에서 이웃 네트워크 요소로 이동.
* CRC기반의 오류 제어, 흐름 제어
* 프레임 ( frame )
[ L1 ] 물리 계층 ( Physical Layer )
* 프레임 내부의 각 비트를 한 노드에서 다음 노드로 이동.
- 모든 계층은 서로 상하위 계층에 의존하여 전송된다.
- OSI 7계층이 유일한 프로토콜 스택이 아니다
- 계층의 스위치가 존재할 경우, mac 주소는 L3가 활용, IP는 L4가 활용하는 식이다.
'[ SERVER ] > [ TCP, IP 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TCP / IP ] 명령어 (0) | 2021.02.12 |
---|